왕의 호칭 조 종 군

왕의 호칭 조 종 군

 

왕은 살아 생전에 자신의 호칭을 알 수 없다. 돌아가셔야만 종묘에 신주를 모시는데 이때 붙이는 이름을 묘호라고 한다. 예를 들면 세종이라고 하면 종묘에 모실 때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원래는 국가를 처음 창업한 왕에게만 <조>의 호칭을 사용했다. 고려시대를 보면 고려를 창업한 왕건만 <태조>라고 불리웠고 나머지 임금은 <종>이었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조>가 많아졌다. 왜냐하면 <종>보다 <조>가 더 위상과 권위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조> 호칭 세조부터 시작

<조>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한 왕은 <세조>이다. 세조 스스로 명명한 것이 아니라 예종, 한명회, 정인지 등이 <조>란 호칭을 사용했다. 계유정난으로 왕위에 오르게 한 사람들이 세조의 위상을 높임으로써 자신들의 권위와 위상도 높아진다고 생각하여 <세조>라고 칭한 것이다.

선조 인조 순조 영조 정조 묘호 교체

<선조>도 원래는 <선종>이었으나 임진왜란에서 나라를 지켜냈다고 생각하여 광해군과 그의 신하들은 <조>라고 칭했다. 임진왜란을 잘 극복했으니 나라를 새롭게 창업한 것과 진배없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선종>에서 <선조>로 묘효를 바꿨다.

<인조>도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으므로 반정을 주도한 세력들이 <조>라는 호칭을 사용한 것이다.
<순조>도 <순종>에서 조로 바뀐 예이다. 철종이 왕이 되었을 때 실세였던 순원왕후가 자신의 남편을 높이기 위해 별 공적도 없던 <순종>을 <순조>로 묘호를 바꾼 것이다.
그런데 고종은 순조보다 훨씬 공적이 있는 <영종>과 <정종>을 보니 <조>로 올려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각각 영조와 정조로 묘호를 교체했다고 한다.
<조>라는 호칭이 붙은 왕: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군은 왕위에 올랐으나 폐위되어 묘호를 받지 못해 왕자 시절의 호칭을 부르게 된다. 조선시대의 왕 중 군에는 노산군, 연산군, 광해군이 있다. 그런데 노산군은 나중에 단종으로 추증되었다. 연산군은 세자였으므로 군호가 없었고, 아마 사후에 연산군으로 명명된 것으로 보인다.

조, 종, 군에 대한 호칭은 나름대로 규칙이 있는 듯 보였으나 시대와 권력자들의 이해관계에   견해는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