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릉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디지털로 재현

'광개토대왕릉비'란 무엇인가?

'광개토대왕릉비'는 중국 지린성 집안시에 있는 비로 장수왕에 의해 건립되었습니다. 19세기 말에 발견된 광개토대왕릉비의 내용에서 4~5세기 고구려 정치와 사회, 한반도와 만주일대의 역사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묘호에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라는 능비문이 있어 호태왕비라고도 부릅니다. 비문의 글자는 예서체에 해당되며, 디지털 화면의 높이 8m이고 너비는 2.6m입니다.(실물은 6.39m 37ton)


그런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구려실을 2배로 늘리고, 실물크기의 광개토대왕릉비를 디지털 영상으로 재현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

국립중앙박물관 LED 미디어 타워에 광개토대왕릉비의 실물 크기로 재현하였습니다. 1,775자를 비석에 새긴 것을 재현했고, 비석 좌우에 4개의 족자도 있습니다.


왕위에 올라 고구려 영토를 확장하고 고구려를 안정시킨 광개토 대왕의 업적이 써져 있으며, 시호와 정복 기록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원석 탁본 청명본은 지난해부터 전시하고 있습니다.


원석 탁본이란 광개토대왕릉비 비석에 종이를 대서 살살 두드려 떼어낸 탁본인데 국내외에 19종밖에 없다고 합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를 통해 관람객들은 고구려 역사를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한편 디지털 키오스크를 활용하면 비석 제작 과정을 한눈에 알아보고, 비석에 쓰여진 내용도 확인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박물관 관계자는 관람객들이 가장 호응도가 높았던 곳이 고구려실이었는데 앞으로도 고구려실을 개편하고 콘텐츠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합니다.

 

광개토대왕릉비의 발견

임금이 죽으면 시신을 묻고 비석을 세워 임금이 생전의 업적을 기록합니다. 장수왕도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려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웠습니다. 그런데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비석을 잘 관리하지 못했습니다.

 

조선시대 용비어천가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금나라 땅에는 아주 큰 비석이 있다고 서술하기는 했지만 그게 광개토대왕릉비인지는 잘 몰랐습니다. 다만 금나라 땅에 있으니 여진족의 비석으로 잘못 알았을 것입니다.

조선도 남의 나라 땅이었기에 직접 가서 조사하지는 못했습니다.


비석의 존재가 잊혀져 갈 무렵 청나라 행정구역이 이곳에 설치됩니다.

1877년 이곳의 책임자로 온 청나라 관리는 그 비석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끼로 덮여 있었는데 이끼가 없는 일부분을 탁본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니 그것이 광개토대왕릉비였다는 것이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총 1,775자이지만 해석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글자는 150자입니다. 기술이 더 발전되면 혹시 해석이 가능할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